2018년 8월 14일 화요일

웨슬리가 읽은 소설 <벨리사리우스>

1772년 11월 23일 월요일, 웨슬리는 (영국 남서쪽 외곽에 위치한) 작은 마을 "도킹(Dorking)"을 방문하였다. "만남의 집" 개설을 축하하는 목적이었다. 저녁에는 편안히 쉬고 다음날 저녁까지 모처럼 편안한 시간을 가졌다.

런던으로 돌아오는 길에 무엇을 하였을까? (“장 프랑수아 마르몽텔”의 소설) <벨리사리우스>*를 완전히 읽었다. 감동과 교훈을 주는 역사 소설이었다. 소감도 한마디 적어 놓았다. 소설에서, 왕의 의무를 지리하게 설명하는 부분이 없었으면 딱 좋았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Mon. 23. I opened the new house at Dorking and was much comforted both this and the following evening. In returning to London, I read over Belisarius. The historical part is both affecting and instructive. But his tedious detail of the duties of a king might very well be spared.
* 각주1) <벨리사리우스>(1767)는 책 제목이다.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며 소설가인 “장 프랑수아 마르몽텔”의 소설 <벨리제르>(1767)의 영어 번역본이다. 영어 번역본은 다음 링크에서 찾아 읽을 수 있다.
원문링크

프랑스에서는 읽는 것이 금지되었던 소설이다.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한 책임을 지고 사형당한 랑리 톨랑달의 운명을 실랄하게 풍자했기 때문이다. 고대 로마에서 정치의 희생물이 된 로마의 장군 “벨리사리우스”의 운명과 닮았기 때문이었다.

미술가 “다비드”의 그림 <구걸하는 벨리사리우스>**를 보면, 로마에서 저질러졌던 불의한 정치를 상상할 수 있다. 미술가 “다비드” 또한 소설 <벨리제르>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그림을 완성시켰다.

<벨리제르>라는 소설이, 프랑스에서 저질러졌던 불의한 정치를 풍자했으니, 프랑스에서는 금서로 지정받을만했었다. 그 때는 불의한 정치가 대세였나 보다. 정치의 희생양이 필요했고, 그런 불의를 고발하는 발언을 강제로 금지하기도 하였다.

** 각주2) <구걸하는 벨리사리우스>(1781) : 다비드의 그림은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그림링크

그림에서 보여주는 내용은 이렇다. 로마의 영토 대부분을 회복한 벨리사리우스는, 말년에 정치적 모함을 받아 추방되었고, 먹을 것을 구걸하는 거지가 되었다. 미술가 "다비드"는 <구걸하는 벨리사리우스>를 그려서 그림 실력을 인정받고, 루브르 박물관에서 개인 작업실을 갖게 되었다.

모두들 대단하다. 한 시대의 시대를 꿰뚫어 보는 통찰력도 갖추고 있고, 글로 그림으로 표현하는 실력(?)도 갖추고 있다. 웨슬리도, 장 프랑수아 마르몽텔도, 다비드도, 모두 대단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40411 목요일 - 진실한 미래(2)

일기쓰기 방법으로 <Future Cultures>를 읽는다. 그러면, 생활의 목적을 하나로 정할 수 있다. 주일 설교가 항상 "완전한 사랑"으로 끝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래서, 책에서 만난 "프레임(frame)&...